2021. 9. 9. 20:43ㆍ직장생활 다이어리
'목표를 잘 세워야한다' 라는 말은 많이들어봤지만 막상 목표를 정하고자하면 막연하게 목표를 세우게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막연하기 때문에 계획한 목표를 성취하는것도 힘들고 작심삼일이되어 끝나는 경우도 많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세울 수 있는 SMART 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MART
S - Specific / 구체적
막연한 목표보다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가 실현될 가능성이 큽니다.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6W를 잘 생각해야 합니다.
- Who 누구의목표인가?
- What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는가?
- When 목표달성에 필요한 시간은 얼마인가?
- Where 어디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가?
- Which 목표달성에 필요한 조건이나 제약은?
- Why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이유와 목적이무엇인가?
위의 6W가 명확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습니다.
M - Measurable / 측정가능
목표 달성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정해서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수치화를 할 수 있어야 결과를 파악 할 수 있고, 목표한대로 진행되어 가는지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매일 영어공부하기' 보다는 '총60회의 강의를 매일 2개이상 듣기'와같은 수치화 할 수 있는 계획이 훨씬 더 실현가능성 높은 계획입니다.
A- Attainable / 실현가능
도전적이지만 달성가능한 목표안에서 계획을 수립해야합니다.
설득력이 없거나 달성할 수 없는 목표를 근거로 삼는것도 금물입니다.
R- Realistic / 현실반영
위의 Attainable 과 비슷하게 목표는 현실적이여야합니다.
달성 불가능한 목표는 능률을 저하시키므로 현재 내 상황 내에서 실현할 수 있는 목표를 세워야합니다.
예를들어, 전문가가 7일이 걸리는 일을 초심자가 5일안에 끝내는 목표를 세우는 것과 같이 비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도 안되지만 너무 쉬운목표를 세우면 더이상 발전하지 않을 것이기에 현실을 반영하여 목표를 세워야한다.
T- Time-bound 기간근거
추상적인 기간이아닌, 언제까지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정확한 완료기간을 정해야합니다.
올해안에, 여름까지라는 막연한 표현보다는 '12월까지' 같은 정확한 기한을 둬야 제대로된 목표 설정이 가능해집니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세워야하는 이유?
위와 같은 목표설정기법의 가장 큰 장점은 목표를 향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상황을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일하는 중 눈에보이는 성과가 나지않아 좌절한다거나, 일을 하는 도중 잘못된 방향으로 일을 하고있다는 사실을 알고 당황하는 경우가 많이있습니다.
SMART목표설정 같은 기법을 이용하면 일하는 도중 '지금 내가 잘하고있나?', '지금 내가 가고있는 방향이 맞나?' 라는 질문에서 답을찾아 목표에 더 다가갈수 있게 됩니다.
'직장생활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에서의 전화 예절 (0) | 2021.09.11 |
---|---|
프로젝트요? 그게 뭐죠? (0) | 2021.09.10 |
직장에서 메일 작성 잘하는 방법 (0) | 2021.09.10 |
허리 통증으로 인한 고통과 마음이 아픈 고통 중 어느 것이 더 아플까? (0) | 2021.09.09 |
5Why 분석방법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