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외부환경 분석 요인 - PEST, PESTLE, STEEP

2021. 10. 9. 22:54직장생활 다이어리

    지난번 비즈니스 프레임워크(Business Framework)에 대한 간략한 소개글에서 언급했던 SWOT 분석을 기억하고 계시나요? 기업이 직면한 내부와 외부 요인을 분석하여 전략을 도출할 때 활용하는 도구죠. 잘 알고 계신 것처럼 SWOT 분석에서 S와 W는 각각 Strengths(강점)와 Weaknesses(약점)를 의미하며 이 두 요소는 기업 내부의 요소입니다. O와 T는 Opportunities(기회)와 Threats(위협)을 의미하고 기업 외부의 요소를 의미합니다. 

 

    보통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거시적인 측면에서 미시적인 요소로 좁혀 내려가는 방법을 사용하곤 하는데요, 이 방법을 따라 SWOT 분석을 할 경우 먼저 기업의 외부적인 요인들, 즉 거시적 측면을 확인하고 그다음에 그런 제약 하에서 기업의 내부적인 요인들, 즉 기업 고유의 강점과 약점을 어떻게 발휘하여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곧 SWOT 분석을 통해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업의 외부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사항들을 확인해야 할까요? 

 

 

1. PEST
-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
- Political, Economical, Social, Technical Factors

 

    위의 네 가지 요인들이 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일반적인 접근법입니다. 국가 간 관계 변화, 정부의 정책이나 규제, 새로운 제도 등이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고 영향을 주는지와 같은 정치적인 사항을 분석하고, 환율이나 이자율, 물가상승과 경제 성장 또는 침체 전망 등과 같은 경제적인 사항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1인 가구 증가나 출산율 저하, 노령인구 증가 등과 같은 인구구조와 기후변화, 감염병 등과 같은 사회적인 이슈들에 관한 사항, 최근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 하에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과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우리 기업에게 기회 요소인지 아니면 위협 요소인지를 판단하는 것이죠. 

 

    PEST에서 정치적 요인에서 법제도적 요인을 구분하고 환경 요인을 추가한 PESTLE도 있습니다. 

 

2. PESTLE
-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법제도적, 환경적 요인
- Political, Economical, Social, Technical, Law, Environmental Factors

 

3. STEEP
- 사회적, 기술적, 환경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
-  Social, Technical, Environmental, Economical, Political Factors

 

    STEEP으로 불리는 요인들도 있습니다만, 사실 세 가지가 명칭만 조금 다를 뿐 모두 같은 요인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기획하거나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를 해서 보고를 해야 할 때 각 요인들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거나 알고자 하는 바를 구분하여 정리하면, 회사가 처한 외부 환경 분석을 조금 더 수월하고 체계적으로 문서화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외부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파악해야 할 요인(영역)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여기서 한 단계 더 좁혀 들어가서 기업이 속한 산업은 어떠한지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때 많이 활용하는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중 마이클 포터의 Five Force Model입니다. 지난 비즈니스 프레임워크(Business Framework) 글에서 간략하게 소개했습니다만, 다음 글에서 마이클 포터의 Five Force Model에 대해 조금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